Surprise Me!

[이슈인사이드] 보복소비 옛말...이젠 '짠테크' / YTN

2022-09-23 112 Dailymotion

■ 진행 : 김영수 앵커, 박상연 앵커 <br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br /> <br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N이슈]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br /> <br /> <br />물가를 잡기 위한잇따른 금리 인상에 역설적으로 서민들은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갈수록 살림살이가 팍팍해지면서 이른바 '짠테크' 모드에들어가는 청년들이늘고 있습니다. 정철진 경제평론가와 함께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br /> <br />먼저 경제 상황부터 진단을 해보겠습니다. 원달러 환율 어제 1400원 돌파했죠. 이게 IMF 때,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때 딱 두 번 있었던 일이라고 하더라고요. 저희가 그때만큼 지금 힘든 겁니까? <br /> <br />[정철진] <br />글쎄요, 위기의 경중을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원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97년에 있었던 IMF 외환위기는 동아시아 국가들에 있었던 외환위기였고요. 그다음에 2008년에 있었던 세계금융위기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파생상품이 터지면서 터졌던 신용위기, 금융위기였습니다. 지금 위기는 뭐냐. 인플레이션 위기입니다. <br /> <br />거의 40년 만에 최고치, 이거 전 세계적인 물가상승의 인플레이션이 끝을 현재는 알 수 없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앞서 두 번 있었던 것보다 단기적인 파괴력은 약하다 하더라도 이것의 시간과 이게 얼마나 지속될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더 괴로운 것이고요. <br /> <br />우리가 앞서 두 번의 위기 때도 그랬지만 이렇게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가 찾아올 때는 달러 혼자만 힘을 내는 경우가 많이 있고 이번에도 그런 패턴, 법칙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br /> <br /> <br />그러니까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까 환율이 앞으로 또 더 오를 것이다, 이렇게 전망하는 분들이 많더라고요. <br /> <br />[정철진] <br />원-달러 환율 기준으로 일단 한 1320원에서 1350원 선이 깨지고 나서부터는 기술적 분석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IMF 때가 2000원, 금융위기 때 2008년이 1600원, 그리고 코로나 때가 1300원, 그러니까 일단 1300원을 다시 깼다라는 것은 이후부터는 어디까지 올라갈지 알 수 없는 그런 상황이고 어제 1400도 넘었고요. <br /> <br />현재로써는 일각에서는 1420원, 1450원, 유튜브로 눈을 돌리면 1500원, 그 이상도 있지만 현재는 일단은 달러 강세가 꺾이지 않는 한 어디까지 갈지 알 수 없는, 그러니까 예측이 일단 힘들다 볼 수 있겠습... (중략)<br /><br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2209231320593622<br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br /><br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br /><br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Buy Now on CodeCanyon